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2세대실손보험 의의, 공제금액, 단점

by 골든크로스 2023. 8. 12.

 

 

2세대 실손보험

지난 포스팅 1세대 실손보험에 이어 2세대 실손보험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해요. 2세대 실손보험은 2009.10이후 2013.

3까지 가입이 가능했던 상품인데요. 1세대 실손보험에 비해 보장범위가 축소(공제금액의증가등)되었지만, 여전히 3세대,4세대 실손보험보다는 보장범위가 넓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세대 실손보험의 공제금액

2세대 실손보험에서 공제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원에 대해서는 10%공제금액을 가져서 90%만 보장을 받게 됩니다. 통원의 경우(외래)가 중요한데요 의원급은 1만원 병원급, 종합병원급은 1.5만원 상급종합병원은 2만원의 공제금액이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약제비의 경우 별도의 담보에서 한도내로(통상5만원) 보상이 가능한데요 별도의 공제금액 8천원의 공제금액이 있습니다.

 

2세대 실손보험의 단점

단점은 모든 실손보험이 그렇듯이 손해율이 높으며 그로 인해서 갱신시 보험료가 많이 올라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3세대, 4세대에 비해서 보장범위가 넓은 만큼 보험료도 그만큼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4세대실손전환의 문제

1세대 2세대 실손보험을 가지고 계신분들에게 4세대 실손전환에 대해서 문의가 많이 오고 있습니다. 이는 보험사에서 대대적으로 실손보험 전환센터 등도 마련하여 홍보 전화를 돌리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과연 실손전환이 가입자에게 유리한지는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는 다른 포스팅에서 다시한번 심도있게 다루기로 하고 간략히 설명드리자면,

4세대 실손보험이 가입시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할수는 있지만, 보장내용이 축소되었다는 점에서 고민해보아야 하는 부분입니다.